티스토리 뷰

북한, 국경선 인근 부대에 완전사격 준비태세 명령으로 긴장 고조

 

북한이 국경선 인근 부대에 완전사격 준비태세를 갖출 것을 명령하며 한반도에 다시 한 번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이 같은 소식을 전했는데요, 북한의 이번 움직임은 한반도 내 군사적 상황이 심각하게 위기 상황으로 치닫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오늘은 북한의 사격 준비태세 명령의 배경과 의도, 이에 따른 남북한의 반응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북한의 완전사격 준비태세 명령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 인민군 총참모본부는 12일 국경선 부근의 포병연합부대와 중요 화력임무가 부과된 부대들에 대해 작전예비지시를 하달했습니다. 이 지시에 따르면, 전시 정원편제대로 완전 무장된 8개의 포병여단이 13일 20시까지 사격 대기태세로 전환하도록 명령받았으며, 각종 작전 보장 사업도 완료하라는 내용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지시는 북한이 남한의 움직임에 대비해 군사적 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이번 지시에는 한국 무인기가 다시 국경을 넘었을 때 대상물을 타격하는 상황을 가정해 준비하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이로 인해 무력충돌로 확대될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각급 부대와 구분대들에는 감시경계 근무 강화도 지시되었으며, 평양에는 반항공(지대공) 감시초소를 증강했습니다. 이는 남한의 무인기가 평양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습니다.

평양에 대한 '중대주권 침해' 주장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조치의 이유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도 평양에 대한 대한민국의 중대 주권 침해 도발 행위로 일촉즉발의 군사적 긴장 상태가 조성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남한의 무인기가 이달 3일, 9일, 10일 세 차례에 걸쳐 평양에 침투해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주장에 대한 사실 여부를 확인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북한의 이러한 주장이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지만, 북한은 이 상황을 이용해 군사적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북한의 위협과 남한의 대응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번 무인기 도발에 대해 "주체와 행위자에 전혀 관심이 없다"고 말하며, "만약 평양에서 한국 무인기가 다시 발견된다면 끔찍한 참변이 일어날 것"이라고 강력히 위협했습니다. 이는 북한이 무인기 문제를 빌미로 군사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북한이 위해를 가하면 그날이 바로 북한 정권의 종말이 될 것"이라고 응수했습니다. 이는 북한의 위협에 대해 결코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시사하며,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더 커지는 모습입니다.

김정은의 포병종합군관학교 방문

 

북한의 이번 군사적 준비태세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오진우 포병종합군관학교를 방문해 실탄 사격 훈련을 현지 지도한 사실과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6일 김정은의 포병훈련 지도 소식을 전하며, 북한이 군사적 대비 태세를 더욱 강화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남한의 무인기 활동에 대한 북한의 경계심과 대응 강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한반도 긴장 고조

 

북한의 이번 완전사격 준비태세 명령과 김여정의 발언 등은 북한이 남한의 무인기 활동을 빌미로 군사적 긴장을 한층 높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한 역시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강경하게 대응할 것을 밝혔기 때문에 한반도 군사적 긴장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한국 무인기의 평양 접근과 관련된 논란은 앞으로 남북 간의 갈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북한은 남한의 무인기 활동을 중대 주권 침해로 규정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고, 남한 역시 이에 대해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남북 간의 군사적 충돌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제사회와 주변국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을 위한 노력은 여전히 요원해 보이며, 양측 모두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지 않도록 신중한 행동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