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도·파키스탄 카슈미르 무력 충돌 전말과 핵전쟁 위기 분석

 

2025년 5월,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서 발생한 카슈미르 공습 사태는 세계의 시선을 단숨에 이 지역으로 돌려놓았습니다. 이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격랑에 휩싸인 국제사회는, 또 하나의 전쟁이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에 휩싸였습니다.
두 나라는 단순한 국경분쟁 상대가 아니라, NPT 비가입 핵보유국이라는 점에서 이번 무력 충돌의 파장은 더 큽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도·파키스탄 간 최신 무력 충돌의 배경, 진행 상황, 카슈미르 갈등의 뿌리와 전쟁 가능성까지, 핵심 쟁점을 정리해드립니다.

카슈미르지역(구글지도, 금성교과서)

Q1. 인도는 왜 파키스탄을 공습했을까?

 

바이사란 계곡 테러 → 인도인 26명 사망 → ‘저항전선’ 배후 지목

2025년 4월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바이사란 계곡에서 무장 괴한들이 힌두교 관광객들을 겨냥한 총기 난사 테러를 감행했고, 26명의 목숨이 희생되었습니다. 인도는 이를 파키스탄과 연계된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 단체 저항전선의 소행으로 지목했습니다.

이에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해외 순방을 중단하고 귀국, 파키스탄을 겨냥한 보복 조치와 군사 작전을 선언했습니다.

👉 인도군은 ‘신두르 작전(Sindoor Operation)’이라는 이름으로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및 본토 9곳의 테러 기지에 대한 미사일 공습을 단행했습니다.

 

Q2. 카슈미르, 왜 이렇게 민감한 곳인가요?

 

항목 내용
면적 약 22만 ㎢ (한반도와 유사)
주요 종교 이슬람교 약 70% (인도 전체는 힌두교 다수)
지배 상태 인도(46%), 파키스탄(35%), 중국(19%)
전략적 가치 히말라야 고원·지하자원 풍부·관광지·수자원 요지
주요 강 인더스강 (파키스탄 농업의 생명선)
 

카슈미르는 1947년 영국이 식민지 지배에서 철수하며 불씨가 된 영유권 분쟁 지역입니다.
이슬람 다수 주민을 가진 이 지역의 통치자가 인도 편입을 선택하자, 파키스탄과 인도는 세 차례 전면전을 벌였고, 수십 년간 군사적 충돌이 반복되었습니다.

Q3. 왜 인도는 강물까지 끊었나?

 

인더스강 차단 조치 = 파키스탄 ‘젖줄’ 봉쇄 전략

  • 인더스강은 파키스탄 농업용수의 약 80% 이상을 공급하는 핵심 수자원입니다.
  • 인도는 1960년 인더스 수자원 조약 효력 중지를 선언하고 닐룸제룸 댐을 군사 타격함으로써, 파키스탄의 농업·식량 기반에 타격을 가했습니다.

즉, 전면전 대신 경제·환경·수자원 전쟁으로 국면을 확대하려는 전략입니다.

인더스강

Q4. 현재 무력 충돌 상황은?

 

인도군 공습 파키스탄군 보복 기타 현황
파키스탄령 기지 9곳 타격 전투기 5대 격추 주장 (인도는 부인) 최소 사망자 36명, 부상자 100명 이상
‘신두르 작전’ 단행 카슈미르 및 본토 3곳 공습 양국 항공로 긴급 변경
무장 단체 소탕 선언 인더스강 관련 시설 타격 반발 외교 추방·국경 교역 중단

양측은 군사적 성과를 과시하고 있지만, 서로의 주장을 부인하며 치열한 정보전도 벌이고 있습니다.

 

Q5. 전면전 또는 핵전쟁 가능성은?

 

단기적 전면전 가능성은 낮지만, 긴장 고조는 불가피

항목 인도 파키스탄
정규군 병력 140만 명 70만 명
핵탄두 약 170개 약 165개
군사비 800억 달러 이상 약 120억 달러
방어체계 미사일 방어체계 보유 게릴라·반격 전술 강점
 
  • 인도가 우세하긴 하지만, 파키스탄 역시 핵무기, 민병대 기반 게릴라 전략으로 단기간에 전쟁을 끝내기 어렵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 국제사회는 미국, 유엔, EU 등이 ‘즉각적인 휴전과 외교적 해법’을 촉구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무력 충돌 확대를 경계하고 있습니다.

 

카슈미르는 단순한 국경 분쟁이 아닙니다

 

카슈미르를 둘러싼 이번 충돌은 종교, 민족, 물, 경제, 핵무기, 지정학까지 얽힌 복합 위기입니다.

‘핵무기를 가진 두 국가가, 수자원을 무기 삼아, 감정의 골까지 깊어진 싸움을 벌이고 있다.’

 

이 단 한 줄로도, 왜 국제사회가 이 지역을 주목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