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한민국 종교 분포 현황: 절반은 ‘무종교’, 젊을수록 세속화 경향 뚜렷

 

우리 사회에서 종교는 때로는 삶의 위안을 주고, 때로는 가치관의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사회에서 종교를 믿지 않는 ‘무종교 인구’가 절반을 넘어섰다는 소식은 많은 이들에게 놀라움을 주고 있죠. 2024년 기준, 대한민국 국민들의 종교 분포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세대별, 지역별, 성별에 따른 차이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종교 비율 요약

 

구분 비율
종교 없음 51%
개신교 20%
불교 17%
천주교 11%
기타 종교 2%

2024년 현재, 국민의 절반 이상(51%)이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무종교인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2018년 이후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는 수치입니다. 종교가 있는 사람들 중에서는 개신교가 2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그 뒤를 불교(17%), 천주교(11%)가 이었습니다.

 

종교별 특징 자세히 살펴보기

 

개신교 (20%)

  • 한국 내 가장 많은 종교 신자 수
  • 여성 신자 비율이 높음 (여성 22%, 남성 18%)
  • 수도권 중심 분포 (서울·인천·경기 지역 신자 55%)
  • 연령이 높을수록 신자 비율 증가: 18–29세 13% → 70세 이상 29%

불교 (17%)

  • 영남권(대구·부산·경남)에서 가장 높은 비율 (최대 29%)
  • 연령 높을수록 비율 증가: 18–29세 8% → 60–69세 23%
  • 수도권보다는 지방 중심 분포
    (수도권 37%, 영남 40%)

천주교 (11%)

  • 여성 신자 비율 우세 (여성 12%, 남성 10%)
  • 수도권 집중 (신자의 58%)
  • 연령 증가에 따른 신자 비율 상승
    18–29세 7% → 70세 이상 18%

기타 종교 (2%)

  • 원불교, 유교, 천도교, 증산도 등 소수 종교 포함
  • 연령층에 관계없이 소수 유지

 

연령별 종교 분포

 

연령대 개신교 불교 천주교 기타 무종교
18–29세 13% 8% 7% 2% 69%
30–39세 16% 11% 9% 2% 63%
40–49세 20% 14% 9% 2% 56%
50–59세 20% 20% 9% 2% 49%
60–69세 23% 23% 14% 1% 38%
70세 이상 29% 22% 18% 2% 30%

📌 20~30대는 무종교 비율이 60~70%에 달하는 반면, 60세 이상 고령층은 60~70%가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이는 세대 간 가치관의 큰 차이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별 종교 분포

 

  • 남성의 무종교 비율: 55%
  • 여성의 무종교 비율: 47%
  • 전통적으로 여성 신자 비율이 개신교·천주교 모두에서 더 높음

여성은 정서적 신앙을 추구하는 경향이 많아 종교를 믿는 비율이 높은 반면, 남성은 상대적으로 무종교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지역별 종교 분포

 

  • 수도권: 개신교(22%), 천주교(13%) 비율 높음
  • 영남권: 불교(24~29%) 비율 전국 최고
  • 전국 평균 무종교 비율: 약 51% → 시·도 간 큰 차이 없이 전국적으로 세속화 경향

 

최근 트렌드와 사회적 변화

 

  1. 무종교 인구 증가 추세
    • 1985년 51.2% → 2015년 56.1% → 2024년 51%
    • 20~30대 세대에서 특히 두드러짐
  2. 고령층의 신앙 강세
    • 60세 이상 연령층의 60~70%가 종교 신자
  3. 청년 세대의 세속화
    • 개인주의와 과학적 사고 증가
    • 전통 종교보다 자기계발, 명상, 정신 건강 등에 관심
  4. 종교 호감도
    • 불교 > 천주교 > 개신교 순으로 호감도 높음
    • 이는 종교 활동 외부 이미지 및 사회 참여 방식과 관련

 

한국은 ‘종교 없는 시대’로 가고 있는가?

 

2024년 대한민국은 절반 이상이 종교가 없는 세속사회로 접어들었습니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종교와 거리감을 느끼고, 기존의 종교보다 새로운 정신적·사회적 대안을 찾는 모습이 보입니다. 반면, 고령층은 여전히 종교를 삶의 중심축로 삼고 있죠.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신앙의 문제를 넘어 사회 가치관, 교육, 정치, 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는 흐름입니다. 앞으로 종교는 어떻게 변화할까요? 그 해답은 결국 우리가 만들어갈 미래 속에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