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장마 일정에 대해 알아보기

 

올해도 어김없이 장마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5년의 장마는 예년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특히 국지성 집중호우와 폭염이 함께 찾아올 가능성이 커져 사전 대비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장마는 언제 시작될까?”
“어느 지역이 더 많이 비가 올까?”
“폭염은 얼마나 심해질까?”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 아래에서 지역별 장마 시작일, 강수량, 기온 전망, 대비책 중심으로 상세히 풀어드리겠습니다.

2025년 장마, 언제 시작되고 얼마나 지속될까?

 

2025년 장마는 평년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해 약 31일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별 예상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주도: 6월 19일경 시작 → 7월 20일경 종료 (32일간)
  • 남부지방 (전라, 경상 등): 6월 23일경 시작 → 7월 24일경 종료 (31일간)
  • 중부지방 (수도권, 충청, 강원 등): 6월 25일경 시작 → 7월 26일경 종료 (31일간)

장마 종료 시점은 7월 말~8월 초로 예상되며, 이후 8월 하순에는 '가을장마', 즉 제2차 우기가 나타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음’… 집중호우 주의보

 

기상청 및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올해 장마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을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기상 특성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 강수량 증가
    6월 후반부터 7월 초까지 강우량이 집중되며, 장마 초기부터 굵은 빗줄기가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 국지성 집중호우 증가
    기후 변화로 인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비가 쏟아지는 게릴라성 호우가 빈번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기준, 시간당 100mm 이상의 폭우가 16회 발생했으며, 올해도 유사한 흐름이 예상됩니다.
  • 지역별 차이
    중부지방이 특히 많은 비를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지난해 중부지역의 장마철 강수량은 무려 506.3mm였습니다.

 

기온 상승과 동반 폭염 가능성

 

올해 장마는 단순히 비만 오는 장마가 아닙니다.
장마 전선 소멸 이후, 무더위와 폭염이 동반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6월 기온
    평년(21.5~22.1℃)과 비슷할 확률이 50%
  • 7월 기온
    평년보다 높거나 비슷할 확률이 40%로, 특히 장마 후반부터 폭염 경고가 예상됩니다.
  • 고수온 현상
    남해와 서해 연안의 표층 수온이 1℃ 이상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 강화 → 고온다습한 공기 유입 → 폭염 심화라는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고수온 특보 가능성
    7월 중순 이후, 해양 고수온에 따른 어패류 폐사와 해양 생태계 위협도 우려됩니다.

장마철, 이렇게 대비하세요

 

장마철의 비는 단순한 우산으로는 막을 수 없습니다.
특히 도심 침수, 농작물 피해, 교통 마비 같은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사전 대비가 필수입니다.

✅ 도시 거주자를 위한 준비

  • 배수구 청소: 아파트와 주택가의 배수구는 반드시 점검해 막힌 이물질을 제거하세요.
  • 전기 안전 점검: 물기가 닿을 수 있는 콘센트, 멀티탭 등은 반드시 실내 안전 위치에 두세요.
  • 차량 이동 주의: 도로 침수 정보에 따라 차량 운행을 조정하고, 비상용 장화를 차량에 비치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 농촌 지역을 위한 대비책

  • 농작물 사전 방수 처리: 비닐하우스, 논·밭 배수로 확보 등 피해 최소화 조치
  • 농기계 보관 철저: 침수 우려 지역에서의 보관은 피하고, 전자장비는 건조한 장소에 보관

✅ 비상시 대응 팁

  • 기상청 알림 앱 설치: 실시간 호우경보, 기온 정보 등을 바로 받아보세요.
  • 비상 식량·약품 확보: 단전, 단수에 대비해 기본적인 비상 물품을 구비해두는 것도 좋습니다.

추가 변수와 최신 정보 확인 방법

 

기상청은 5월에 3개월 기상전망을 통해 이번 장마의 더 구체적인 정보(시작일, 강수량 등)를 발표하였습니다.
따라서 여행, 캠핑, 농작업, 공사 일정 등을 계획 중이라면 기상청 공식 자료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5년 장마, 평범하지 않은 이유

 

2025년 장마는 단순한 ‘우기’가 아닌, 기후 변화와 고기압 이상 패턴, 해수온 상승 등 복합적인 기상 요소가 얽힌 복합기상 시기입니다.

  • 강수량 증가 + 집중호우 빈발
  • 기온 상승 + 폭염 및 고수온 현상 동반
  • 8월 하순 가을장마 가능성까지

올여름, 여러분의 안전과 일상 보호를 위한 사전 준비가 어느 때보다 중요합니다.
지금부터 대비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