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알리, 테무의 저렴한 판매가격의 비밀
혹시 요즘 ‘테무(Temu)’에서 스마트폰 케이스를 1,000원도 안 되는 가격에 보고 놀란 적 있으신가요?
아니면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에서 배송비 없이 도착한 상품을 보며 “이거 도대체 어떻게 이 가격에 가능한 거야?” 하고 의문을 품은 적 있으신가요?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인 테무와 알리, 이 두 거인의 가격 전략은 전 세계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이들이 어떻게 이런 ‘말도 안 되는 가격’을 유지하는지, 그 숨겨진 구조와 전략을 깊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중국 제조 생태계가 만든 초저가 시스템
먼저,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중국의 강력한 제조 기반입니다.
- 저렴한 인건비
- 거대한 생산량
- 완성된 제조 인프라
중국은 전 세계 제품의 30% 이상을 생산하는 ‘세계의 공장’으로 불립니다. 특히 광둥성, 저장성 등은 제조 특화 지역으로, 하나의 부품부터 완성품까지 한 도시에서 해결할 수 있는 클러스터 구조를 가지고 있죠.
대규모 생산에 따라 단가가 크게 낮아지고, 일정 수량 이상의 재고가 발생하면, 이를 알리나 테무를 통해 해외 소비자에게 ‘헐값에’ 소진하는 구조가 형성됩니다.
중간 유통, 없애버리면 가격은 떨어진다
테무와 알리는 중간 유통 단계를 과감히 생략합니다.
그 핵심에는 C2M(Customer-to-Manufacturer) 모델이 있습니다.
- 테무의 모기업 PDD(핀둬둬)는 OEM 제조사와 직접 거래
- 브랜드 없는 제품을 대량으로 저가 계약
- 소비자 주문과 동시에 생산하거나 출하
즉, 소비자와 공장을 직결시키며 유통 마진을 날려버린 거죠.
알리익스프레스 역시 판매자가 대부분 제조사나 1차 도매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최소한의 마진 구조를 실현합니다.
관세, 부가세, 인증비용… 이들도 빠진다?
테무와 알리는 대부분 ‘해외 직구’ 형식으로 운영됩니다.
이 말은 곧 관세와 부가세 면제 조건에 해당될 수 있다는 뜻이죠.
예시: 한국의 경우
- 150달러 이하 구매: 관세, 부가세 면제
- 미인증 제품: KC 인증 면제
- 환경 부담금, 포장재 분담금 등 부가비용 없음
국내 기업은 인증·유통·유지비용 등 다양한 제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반면, 테무와 알리의 중국 업체들은 이런 규제 밖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과적으로 비교 자체가 되지 않는 가격 구조가 형성됩니다.
대량 생산 + 재고 소진 = 말도 안 되는 가격
중국 제조사들은 ‘몇 백 개 단위가 아닌, 몇 만 개 단위’로 제품을 생산합니다.
그 결과는?
- 단가 70~90%까지 하락
- 재고 처리용 특별 할인 가능
- 판매가가 원가보다 낮은 경우도 허다
예를 들어, 아마존에서 27달러에 판매되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테무에선 7달러에 올라와 있기도 합니다.
이는 ‘정상가’가 아니라, 재고 정리 혹은 시장 침투용 가격 전략이 숨어 있다는 증거입니다.
시장 점유율을 위한 공격적 전략
테무와 알리는 ‘당장의 이익보다 시장 점유율’을 더 중요시합니다.
- 무료배송 + 첫 구매 할인 + 추가 쿠폰
- 미니게임, 룰렛, 미션 달성 시 보상
- “억만장자처럼 쇼핑하세요” 같은 감성 마케팅
이런 방식은 사용자의 충성도와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는 전략입니다. 심지어 일부 상품은 원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며, 장기적으로 시장을 장악해 이윤을 만들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습니다.
‘무료 배송’… 진짜 공짜일까?
놀랍게도 무료배송은 실제로 존재합니다.
어떻게 가능한가요?
1. 중국의 물류 인프라
- 정부 보조금으로 운영되는 국제물류 라인
- 집하, 통관, 선적까지 국가 단위로 지원
2. 저렴한 노동력과 대량 발송
- 수천 건의 물량을 묶어 한꺼번에 배송
- 단가가 수십 배로 떨어지는 구조
3. 플랫폼의 비용 분담
- 테무나 알리 자체가 배송비 일부를 부담
- 마케팅 비용으로 배송비를 보조하는 구조
즉, 소비자는 무료지만, 플랫폼과 제조사는 손해를 감수하며 유저를 유입시키는 구조입니다.
품질 논란과 국내 기업의 위기
이 초저가 모델은 국내 제조업체와 소상공인에게 치명적인 가격 압박을 줍니다.
- 원가 이하 판매와 비교될 수 없는 인증 비용
- 해외 제품에 대한 신뢰 부족
- 사후 A/S 문제, 불량률 이슈 발생 가능성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격 대비 만족감이 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유통 생태계가 위협받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이 가격, 알고 보면 전략의 결과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초저가 비결은 결코 단순한 ‘싸구려’ 때문이 아닙니다.
이는 중국 제조 생태계, 유통 혁신, 보조금, 전략적 손실 감수가 모두 결합된 결과입니다.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의 혜택을 누릴 수 있지만,
그 이면에는 복잡한 글로벌 구조와 국내 기업의 고민이 함께 존재합니다.
'재미있는 모든것을 모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젠 리뷰도 AI가 요약해준다? 네이버 ‘플레이스 AI 브리핑’ 전격 해부 (7) | 2025.06.27 |
---|---|
드디어 한국형 AI의 진화! 네이버 클로바X, 어디까지 왔을까? (8) | 2025.06.27 |
서번트 증후군, 천재성 뒤에 숨은 놀라운 이야기 (5) | 2025.06.26 |
나이 드는 건 자연스러운 일, 슬로우 에이징으로 건강하게 아름답게 나이 들기 (5) | 2025.06.25 |
물릴 사람만 물린다?! 모기가 유독 좋아하는 사람들의 특징 총정리 (4) | 2025.06.25 |